주요연사
※ 연사 순서는 성함 오름차순이며,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고도원
아침편지 문화재단 이사장
K-DIASPORA 공동대표
고도원의 아침편지를 매일 시민들에게 전하고 있으며, 아침편지문화재단의 이사장이다. 2011년부터 ‘청소년’들의 멘토링, 글로벌 리더 육성을 위해 ‘깊은산속 링컨학교’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약 12,000명의 청소년을 비롯해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K-디아스포라 범세계 시민연대를 주축으로 200만명에 육박하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청소년의 육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
고상구
K&K 트레이딩대표
제2대 베트남 한인회 총연합 회장
제18차 세계한상대회장
국민훈장 동백장
고상구 회장은 2006년 베트남 하노이에 한국식품 유통업체인 K-마켓을 설립했으며, 현재 다낭, 호찌민 등 베트남 전역으로 매장을 넓혀 70여 개의 직영점을 운영하고 있다. 2017년에는 K-마켓이 한상 기업 최초로 베트남 100대 브랜드에 이름을 올렸다. 베트남 하노이 한인회장과 베트남한인회 총연합회장 등을 역임했고 세계한인의 날 기념식에서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인지심리학자이자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인지심리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아트 마크먼 교수의 지도하에 인간의 판단, 의사결정, 문제해결, 창의성에 관해 연구했다. ‘어쩌다 어른’, ‘세바시’, ‘속보이는 TV 人사이드’, ‘책 읽어드립니다’ 등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심리학의 지혜를 널리 알리고 있는 명강사이다.
-
김려원
본다빈치㈜ 대표
선현나눔협회 이사
리틀다빈치 대표이사
김려원 대표이사는 현장감과 몰입감이 넘치는 미디어아트를 ‘컨버전스아트’라는 이름으로 국내 최초로 선보이며 전시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냈다. 현재까지 미디어아트전을 통해 예술을 통한 삶의 가치와 행복을 전달하고 있다. 문화예술분야에서 최초로 블록체인은 물론 메타버스에서도 두각을 나태 내고 있는 가운데 “한국을 빛낸 글로벌 100인 대상”에서 <대한민국신기술혁신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
김종기
푸른나무재단 명예이사장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이사
학교폭력대책위원회 민간위원장
제 61회 막사이사이상 수상자
김종기 명예이사장은 학교폭력의 피해로 아들을 잃은 아버지이자 개인의 고통을 사회적 변화로 이끌어낸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 아쇼카 시니어펠로우 선정, 2018년 인촌상 수상, 2019년 아시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막사이사이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푸른나무재단은 학교폭력이라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산학연(시민단체, 정부, 기업, 연구기관)’과 함께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고 이를 지속 가능한 모델로 구축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김형석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제1대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회장
2021년 백범상 국민통합상
2017년 제31회 인촌상 교육부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인지심리학자이자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인지심리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아트 마크먼 교수의 지도하에 인간의 판단, 의사결정, 문제해결, 창의성에 관해 연구했다. ‘어쩌다 어른’, ‘세바시’, ‘속보이는 TV 人사이드’, ‘책 읽어드립니다’ 등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심리학의 지혜를 널리 알리고 있는 명강사이다.
-
순이엔티 대표이사 박창우는 틱톡 공식 MCN으로써 틱톡의 초창기부터 활발히 활동 중인 대표 MCN사로, 틱톡의 유저라면 누구라도 알만한 틱톡커들을 전속 매니지먼트 하고 있다. 메가 틱톡커(1,000만 팔로워 이상)와 플랫폼 내 밈(MEME)을 리드하는 각양각색의 틱톡커 73인과 전속 계약을 체결한 국내 대표 틱톡 매니지먼트사이자 MEDIA LAB 회사이며, 소속 크리에이터가 보유한 팔로워 수만 3억명에 달한다.
-
중국 지린성 옌지시에서 태어난 조선족 출신인 안유화 교수는 2016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대한민국 내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 연구 및 경제개발 정책가로 활동했으며, 2008년부터 한국자본시장연구원 국제금융실에서 중국담당 연구위원으로 7년간 근무하였다. 현재 한중 경제와 금융협력을 위해 정부와 국가연구기관 및 기업의 자문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양정웅
극단 ‘여행자’ 대표
전)평창올림픽 개막식 총 감독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2018년 평창올림픽 개막식을 총 연출한 양정웅 감독은 한국 전통과 현대의 테크놀로지 융합을 통한 글로벌한 감각적 연출로 묵직한 평화의 메시지를 던졌다.미니멀하면서도 세련된 무대미술로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스타일리스트 혹은 미장센의 천재라 불린다. 천상병 시인의 삶을 다룬 <소풍>부터, 셰익스피어의 또 다른 희극 <십이야>, <한여름 밤의 꿈>까지 흡입력 높은 이야기와 세련된 무대로 주목을 받았다. 대한민국연극대상 연출상을 수상하였고, 체육훈장 맹호장을 수여 받았다.
-
현 예술의전당 사장, 동양예술극장 대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 극단 연우무대 사무국장, ㈜기획시대 대표이사, 세종문화회관 서울시뮤지컬단장 등을 지내며 문화예술과 문화산업 분야에서 두루 현장 경험을 쌓아 왔다. 아시아문화기술투자 대표 펀드 매니저로도 활약한 바 있기에, 공연예술 분야의 다채로운 경험에 더해 작품 기획과 창작·제작, 투자·자금 운용 등의 경영능력도 갖춰 예술의전당의 재도약과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
서울예술대학교 개교 이래 최초 공모를 통해 선임된 총장으로 고려대 충남대 카이스트 한성대 홍익대 등에서 교수직을 두루 거쳐 전주대학교,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계원예술대학교에서 총장을 역임하였다. 이외 산업자원부 기술인문융합창작소 초대 소장, 대한인간 공학회 회장, 국제미래학회 공동회장, 대통령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
이돈태
SADI(Samsung Art&Design Institute)원장
전)삼성전자 부사장
사람 중심의 디자인 싱킹으로 미래의 생활을 친근하게 경험 하도록 고민하는 산업 디자인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쌓아왔다. 디자이너 최초로 삼성 전자 디자인 경영센터장을 수행하다 올해 SADI(Samsung Art&Design Institute; 삼성디자인교육원)원장으로 자리를 이동하였다. 삼성전자에 합류하기전에는 삼성 물산 주택사업 본부 디자인고문, 영국 디자인 컨설팅사인 탠저린의 Co-President를 지냈다. 다양한 소규모 제품과 서비스부터 차세대 로봇, AR, 메타버스 , 경험 플랫폼 등의 디자인 혁신 선도에 경험을 가지고 있다.
-
이석우
두나무 대표이사
중앙일보 디지털 총괄
다음카카오 공동대표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부회장
국내 1위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이석우 CEO는 매출 4조원을 기록하며 가상화폐업계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기자, 변호사에 이어 IT 업계로 넘어와 강렬한 존재감을 자랑한 후 다시 언론계에서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다 지금의 두나무를 맡게 된 입지전적인 인물인 이석우 대표는 최근 방탄소년단의 소속사인 하이브와 함께 NFT분야에도 진출하고 있다.
-
이 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내정자
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
국회의원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내정자로, IT 보안 전문기업 테르텐의 대표이사, 한국여성벤처협회장,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21대 국회에서는 국민의힘 비례대표로 입성했으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후보시절부터 과학기술 관련 공약 등을 만드는데 주축이 되었다. 올리브 영 (all live young)을 외치며 디지털플랫폼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자국의 IT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이철우
경북도지사
전)김천 지역구 3선 의원
전)국회 정보위원장
제32대 경상북도 도지사. 경북도지사 취임 전에는 김천시 지역구 국회의원, 제20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2021년 제3회 대한민국 위대한 국민대상 행정혁신부문 대상, 2017년 대한민국 자랑스런 한국인 대상 등을 수상하였다. 메타버스 수도 경북 조성을 위해 메타경북 정책자문단 출범 및 메타버스 수도 경북 비전 선포하고 각 실국별 1 메타버스 프로젝트, 시군별 1 메타버스 프로젝트, 산하공공기관별 1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
2017년부터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그는 UCLA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하버드대 대학원 경영학 석사를 마친 후 IBM과 AT&T를 거쳐 미국 인터넷 부동산 업체 코코란닷컴, 컨설팅 업체 펠리세이즈 어드바이저 등에서 대표를 지냈으며, 한국에서는 야후코리아·한국마이크로소프트, 한국GM 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전문경영인으로서 여러 기업의 회생 작업을 주도하며 실적 개선을 이뤄 업계에서는 기업회생 전문가로 꼽히고 있다.
-
차 대표는 서울대 및 대학원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펜실베이니아대 전자공학과 박사과정을 밟았다. 삼성 SDS 상무, SK텔레콤 전무,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 대외협력소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SK텔레콤 IoT(사물인터넷)사업부문장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추진단장을 맡으며 능력을 인정받았다. CJ올리브네티웍스는 물론 CJ그룹 전반의 DT 전략과 IT(정보기술) 신사업을 추진하며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
4차 산업혁명과 인류문명사적 변화 속에서 비즈니스의 미래를 탐색하는 공학자로 학문 간 경계를 뛰어넘는 활약으로 명실상부 국내 최고 4차 산업혁명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베스트셀러 《포노사피엔스》를 통해 문명을 읽는 공학자로 널리 알려졌으며 2014년부터 기업, 정부기관 등을 대상으로 2,000회 이상 디지털 문명 대전환에 대한 강연을 이어 오고 있다.